챗GPT '마법의 명령어' 쳤더니…'다이어트 끝판왕' 비법 나왔다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 https://naver.me/FrlpkUaQ
챗GPT '마법의 명령어' 쳤더니…'다이어트 끝판왕' 비법 나왔다
오픈AI의 챗GPT를 비롯한 생성 인공지능(AI)이 확산하면서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한 ‘프롬프트’(명령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프롬프트를 사고파는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생성
n.news.naver.com
생성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시킨 초거대 AI를 활용해 결과물을 얻어내는 AI 모델 중 하나다. 텍스트를 입력하면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알맞은 답변을 출력해준다. 워낙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입력시킨 탓에 어떤 과정을 거쳐 결과물이 나오는지 알 방법이 없다. 초거대 AI가 ‘블랙박스’로 불리는 이유다.
프롬프트는 ‘요술 상자’ 같은 생성 AI에서 원하는 답을 얻어내기 위한 일종의 주문이다. 가장 중요한 요령은 ‘구체적으로 명령하는 것’이다. 챗GPT에 “효과적으로 질문하기 위한 팁을 알려줘”라고 묻자 “질문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원하는 정보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답변이 나왔다. 단순히 “다이어트 방법을 알려줘”라고 묻기보다 실제 트레이너와 상담하듯이 현재 몸무게와 체지방률, 평소 생활 패턴, 원하는 운동 방식 등을 입력하면 훨씬 구체적이고 유용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챗GPT에 “당신은 지금부터 OOO입니다”(Act as OOO)라고 역할을 지정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손꼽힌다. AI가 답할 수 있는 분야를 한정해 답변 범위를 좁히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지금부터 영어 교사입니다. 영어로 대화를 이어가면서 내가 입력한 문장의 틀린 표현을 수정해주세요”라고 입력하면 챗GPT가 일상 대화를 하면서 동시에 영어 문장의 틀린 부분과 어색한 표현을 교정해준다.
질문을 도와줄 수 있는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글 프롬프트를 영어로 번역해 질문해주는 ‘프롬프트 지니’, 다양한 프롬프트를 적용할 수 있는 ‘AIPRM 포 챗GPT’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프롬프트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이를 거래할 수 있는 웹사이트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프롬프트 베이스, 챗X, 뉴트론필드, 프롬프트시 등이 대표적이다. 미국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는 “작년 7월만 해도 주요 프롬프트 마켓은 프롬프트 베이스뿐이었지만 현재는 12개 이상으로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프롬프트 마켓에선 챗GPT와 같은 AI 챗봇은 물론 달리, 미드 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등 이미지 생성 AI에서 쓸 수 있는 프롬프트도 사고판다. 건당 가격은 1달러부터 수십달러까지 다양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부가 행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용 초거대 인공지능(AI)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민간의 초거대 AI 인프라에 정부 문서, 보도자료 등을 학습시켜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함께 청와대 영빈관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
정부는 국세, 지방세, 복지 신청을 한 곳에서 하나의 ID로 이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통합 서비스 창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분산돼 있는 1500여 종의 서비스를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통합한다. 정부 서비스에 필요한 첨부서류를 모두 없애는 ‘관공서 제출서류 제로화’를 통해 연간 2조원을 아낀다.
원본보기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 계획 보고회 백브리핑 / 연합뉴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 위원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국민이 불편함을 느끼는 요소는 모두 없애 국민 행복 플랫폼으로, 국민을 중심으로 모든 정부기관이 원팀으로 뛰는 정부 혁신 플랫폼으로, 기업에는 무한한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기업 성장 플랫폼으로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고학수 개인정보위원회 위원장은 “오픈AI 측과 소통 창구가 개설됐고, (질의에 대해) 간단한 응답이 왔다”며 “챗GPT를 사용하는 국내 사용자는 220만명 정도”라고 밝혔다.
다음은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 위원장,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 위원장과 일문일답.
-2026년까지 1500여 종의 공공 서비스를 통합하겠다고 했는데, 전체의 몇 %?
△(고진) 현재 정부24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3500개다. 그 중 링크를 통해 사이트를 옮겨가 로그인해야 하는 서비스가 1500개다. 그 부분을 한 군데서 다 할 수 있도록 통합하는 의미에서 1500개를 목표로 제시했다.
-통합 서비스 과정에서 인력, 예산 확보 등 예상되는 어려움은 없나.
https://naver.me/FSO7jyfG
[일문일답]"챗GPT 국내 이용자 220만명…정부 전용 초거대 AI 도입"
정부가 행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용 초거대 인공지능(AI)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민간의 초거대 AI 인프라에 정부 문서, 보도자료 등을 학습시켜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대
n.news.naver.com
#오늘뉴스#한국경제#뉴스#4월15일#시사#경제
'시사&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18일 주요 신문 헤드라인 뉴스 (0) | 2023.04.18 |
---|---|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4월 17일) (0) | 2023.04.17 |
파킹통장 보다 좋은 1개월 만기 정기예금 추천 (0) | 2023.04.14 |
오늘의 경제 뉴스(2023.4.13) (0) | 2023.04.13 |
4월부터 달라지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 뉴스 (0) | 2023.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