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연이틀 2%대 상승…인플레 대폭 둔화에 달러 약세
4월12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은 1.73달러(2.1%) 상승한 배럴당 83.26달러를 기록했다.
브렌트유 선물은 1.72달러(2.01%) 뛴 배럴당 87.3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미국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둔화하며 금리가 한 차례 인상된 후 동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미국 원유재고 축적효과를 상쇄하며 유가는 2거래일 연속 2%대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5.0% 올랐다. CPI는 2021년 5월 이후 가장 덜 올랐다. 예상(+5.2%)과 전월(+6.0%)을 크게 밑돌았고 9개월 연속 둔화했다.
브로커스톤엑스의 파와드 라자크자다 시장분석가는 로이터에 "CPI가 약세를 보이며 연준이 다음 달 금리를 인상할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며 "금리 기대가 하락하며 침체 우려가 줄고 동시에 달러 표시 자산의 가격을 지지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CPI 보고서 이후 달러가 급락하며 국채와 금도 크게 올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744513?sid=101
유가 연이틀 2%대 상승…인플레 대폭 둔화에 달러 약세
국제유가가 이틀 연속 2%대 상승세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은 1.73달러(2.1%) 상승한 배럴당 83.26달러를 기록했다. 브렌트유 선물은 1.72달러(2.01%) 뛴 배럴당 87.
n.news.naver.com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41222184601657
美CPI 상승률 5%로 둔화, 약 2년만에 최저(상보)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로 둔화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 2년만에 최저 수준까지 완화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2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
www.asiae.co.kr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로 둔화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 2년만에 최저 수준까지 완화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2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5%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월 6% 상승폭에서 크게 둔화한 것은 물론, 다우존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5.1%)도 소폭 하회하는 수준이다.
미국의 월간 CPI가 5%대를 기록한 것은 2021년 9월(5.4%) 이후 처음이다. 2021년 5월(5.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긴축이 점점 더 정책 여파를 미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을 선언한 Fed는 지난해 3월 금리 인상을 시작으로 미국의 기준금리를 현재 4.75~5.0%까지 끌어올린 상태다.
3월 CPI는 전월 대비로는 0.1% 올랐다. 이 또한 전망치(0.2%)를 약간 밑돈다.
'시사&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18일 주요 신문 헤드라인 뉴스 (0) | 2023.04.18 |
---|---|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4월 17일) (0) | 2023.04.17 |
챗GPT 활용 프롬프트 중요성 확대 (0) | 2023.04.15 |
파킹통장 보다 좋은 1개월 만기 정기예금 추천 (0) | 2023.04.14 |
4월부터 달라지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 뉴스 (0) | 2023.04.13 |
댓글